안녕하세요,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재학생입니다.
저는 2023 편입에 합격해서 현재는 편입 준비생분들께 무료 상담을 해드리고 있습니다.
여러가지 공통된 질문이 항상 나오더라고요.
그래서 몇가지 질문에 대해 답변 드리려고 합니다.
Q1. 노베이스도 가능한가요?
A1. 네. 가능합니다. 충분히 가능해요. 애초에 수학, 과학을 공부한 적 없는 인문계열 학생들도 연고대 공대 편입 준비하시는 분들 많습니다. 그냥 하는 말이 아니라 하기 나름입니다. 베이스가 없다면 만들면 되죠.
Q2. 스펙이 없어도 가능한가요?
A2. 네. 아예 무스펙이어도 상관 없습니다. 애초에 대학교 2학년 학생에게 무언가를 기대한다는 것이 어불성설입니다. 공모전, 대외활동, 봉사, 동아리 등의 활동은 전혀 합불에 영향을 미치지 않아요. 아시다시피 대학은 공부하려는 학생을 뽑는 기관입니다. 교수님들 입장에서 학생이 몇 개의 공모전에 나갔고 몇 개의 대외활동을 했으며 몇 시간의 봉사활동을 했는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다만 이 학생이 본인 수업에 들어와서 공부를 열심히 할건지 아닌지가 중요하죠.
또 학점과 공인 영어점수는 물론 높으면 좋습니다. 가산점은 없지만 이쁘게(?) 보긴 하겠죠. 그런데 낮다고 해서 전혀 불이익 없습니다. 학점은 3점대만 유지하면 되고요. 영어는 연세대의 경우 지원자격만 맞추면 되고 고려대의 경우 영어 성적을 제출 안하셔도 됩니다.
Q3. 서성한 중경외시~ 등 편입영어, 편입수학과 병행해도 될까요?
A3. 절대 비추합니다. 일단 범위가 너무 넓어져요. 수학만 해도 미적분, 선형대수에 공학수학이 추가되고요. 여기에 연고대자연계열 전공과목 1개 + 편입 영어까지 추가 되는 겁니다. 물론 다하면 당연히 좋겠지만 편입은 시간 싸움입니다. 한정된 시간 안에서 빠르게 효율을 끌어내야 해요. 그러기 위해선 선택과 집중이 무조건 중요합니다. 연고대 or 서성한 중경외시 ~ 두 가지 중 하나만 선택해서 공부하시는 걸 강력히 추천드립니다.
Q4. 학업과 병행해도 될까요?
A4. 이수학점이 부족한 상황이면 당연히 병행해야 하지만 지원자격요건을 충족하셨다면 무조건 휴학하고 준비하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이유는 두 가지 인데요. 첫 번째로 뒷배를 남기지 않기 위함 입니다. 애매하게 학업 병행하면서 "붙으면 연고대 가고 떨어지면 계속 다니지 뭐 ~ " 마인드로 공부하면 99% 떨어집니다. 물론 1% 똑똑한 친구들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저처럼 평범한 학생들이라면 무조건 배수진 치고 공부하셔야 합니다. 그게 아니면 아예 시작을 안하는 게 나아요. 괜히 돈, 시간 낭비합니다. 사람은 절박한 상황일 때 능력의 한계치가 높아지기 마련입니다.
두 번째는 편입 공부에 집중하기 위함입니다. 아무리 집중력, 멘탈 좋은 사람이라도 학업 병행하면서 출석, 과제, 팀플, 중간고사, 기말고사에 시달리다보면 편입 준비 굉장히 힘들어집니다. 멘탈도 멘탈이지만 시간을 너무 많이 뺏긴다는 단점이 제일 큽니다. 다른 열심히 하는 합격권 준비생들은 내가 수업들어가 있을 때 계속 편입 공부할텐데 그 준비생들 이길 수 있을까요? 절대 안되죠.
Q5. 난이도는 어느정도 인가요?
A5. 제 체감 난이도는 정말 높았습니다. 명시되어 있는 일반화학, 일반물리 수준보다 더 높더군요.. 한 예시로 물리의 전자기학 단원은 공대에서 2학년 때 배우는 전공인 전자기학, 회로이론 등의 수업에서 나오는 내용들이더라고요.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도 끝까지 버티면서 시험 전날까지 공부하면 합격 가능합니다.
이렇게 자주 나오는 질문 5가지 정도 뽑아 봤습니다.
반응이 좋으면 다른 질문들도 답변하는 포스팅 작성해볼게요.
다음 포스팅은 제 편입 이야기가 될 것 같네요(아무도 안궁금할수도 있지만)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연고대 자연계 편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고대 자연계열 편입에 관심이 있다면? (0) | 2023.07.20 |
---|